목차
지난 8월 기획재정부에서 2024년 예산안을 발표합에 따라 노인 일자리 사업 역시 2024년도에 소폭 오르게 되었는데요, 매년 늘어가고 있는 노인분들 비율과 기초생활수급자 노인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하는 사업이니 해당하시는 분들은 놓치지 낳고 이번 포스팅 보시기 바랍니다.
2024년 노인 일자리 사업 알아보기
공익형, 사회서비스형, 민간형으로 나눠져 있으며 먼저 2023년 현재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공익형은
* 사업특성 및 지자체
여건에 따라 탄력적
으로 운영
이상(일 3시간 이내)

사회서비스형

민간기업 시니어 인턴십 사업
민간기업 시니어 인턴십 사업으로 만 60세 이상 어르신들의 취업을 위해 기업에 인건비를 지원하여 계속고용을 유도하는 사업입니다.
참여대상
참여기업 만 60세 이상인 어르신을 고용할 의사가 있는 4대 보험 가입사업장 중 근로자 보호 규정을 준수하는 기업
참여자 만 60세 이상자
※ 개발원 및 수행기관에서 진행하는 교육 이수 필요
※ 신청제외 :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재정지원일자리사업 등에 참여 중인 자 등
지원내용
3개월간 인턴십 참여 후 계속 근로계약을 할시 1인당 최대 240만 원의 인건비를 지원합니다.
현재 현황 및 문제점
현재 노인인구는 22년 901.8에서 24년 1,000.8명으로 꽤 큰 폭으로 늘었으며, 기초생활수급자 중 노인가구 비중%는 19년 37.4% 22년 45.3% 로 매년 소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24년도 노인 인구가 천만을 진입함에 따라 저소득 노인 지원 강화가 필요해 보이는데요, 일하는 복지로서의 노인일자리 사업의 규모는 희망자(노인인구의 10% 수준)에 비해 여전히 부족한 상황입니다.
*22년 노인인구 902만 명 대비 노인일자리 희망자 93만 명 비율 10%
(노인일자리 수 84.5만 명 + 대기자 8.5만 명 = 희망자 93만 명)
2024년 노인 일자리 사업 최신 업데이트
2024년 노인 일자리 사업 최신 정보로는 먼저 노인 일자리 수와 수당을 1.5에서 2.0조 원으로 대폭 확대하였습니다.
노인인자리는 88.3에서 103.0만 명으로 14.7만 명 늘어나 역대 최고 수준으로 증가했습니다. 이는 노인 10명 중 한 명 지원이 가능한 수치입니다.
일자리 수당 역시 18년 이후 6년 만에 2~4만 원 인상이 이루어졌습니다. 공익형은 월 27만 원에서 29만 원으로 , 사회서비스형은 월 59.4만 원에서 63.4만 원으로 각각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7% 정도 인상된 수치인데요. 인플레이션을 따라가려면 아직은 멀었다고 생각되는 수치이지만 그래도 상승되었다는 데에 의미를 둘 수 있습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2023년 노인 일자리 사업의 현황과 문제점 파악, 2024년도의 노인 일자리 사업의 개선 및 최신 정보까지 알아봤습니다. 수치상으로 볼 때 노인분들을 모두 지원해드리지 못하는 부분이 안타까웠으며 매년 더 나아지길 바라면서 오늘 포스팅 마무리 하겠습니다.
'지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기간, 청년희망적금 중복, 무직 총정리 (0) | 2023.09.27 |
---|---|
2024년 알뜰교통카드 폐지, 새로운 K-PASS (k패스) 정보 비교 총정리 (0) | 2023.09.26 |
2023 내일배움카드 재직자 구직자 신청 방법 혜택 정리 (0) | 2023.09.17 |
아동 돌봄 "다함께 돌봄 서비스" (0) | 2023.09.14 |
창업지원금 종류 6가지 1인 소상공인 청년 중장년 총정리 (0) | 2023.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