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정보

2024 최저시급 월 실수령액 계산 해보자

by ※♨㏇♨ 2023. 10. 7.

목차

    반응형

    2024 최저시급 월 실수령액 계산 해보자

    오늘은 2024년 최저시급과 월 실수령액 계산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많은 근로자분들이 2024년도 최저시급과 월실수령액이 얼마정도 되는지 찾아보시는데요, 지금부터 글 끝까지 보시고 본인이 최저시급에 맞게 일하고 있는지 알아가시기 바랍니다.

     

    2024 최저시급

    지난 8월 고용노동부는 2024년도 최저시급을 작년 2023년도 9,620원 보다 2.5% 240원 인상한 9,860원으로 결정 고시 하였습니다. 임금 인상은 매년 올라가는 물가상승률을 따라가기가 벅찬 거 같습니다. (사용주분들은 제발 최저시급이라도 맞춰서 급여 지급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월급으로 계산하면

    2024년도 최저시급 9,620원을 월급으로 계산해 보면 1주 소정근로 시간인 40시간 월 209시간을 기준으로 2,060,740원이 되게 됩니다. 

     

    표로 보기 쉽게 정리 한번 해봤습니다 최저시급 아래 표 확인 하기

    ㄱㄱ

     

    ㄱㄱ

    연도 최저시급 전년대비 인상률 월급 연봉
    2024년 9,860원 2.5% 2,060,740원 24,728,880원
    2023년 9,620원 5% 2,010,580원 24,126,960원
    2022년 9,160원 5% 1,914,440원 22,973,280원
    2021년 8,720원 1.5% 1,882,480원 22,589,760원

     

    이 최저시급으로 나온 2,060,740원에 부양가족수(본인포함)와 20세 이하 자녀수를 입력하면 월 실수령액 이 나오게 됩니다. 저는 부양가족이 저 포함 4명이기에 4명 입력했고 20세 이하 자녀가 2명 있어서 2명 입력했습니다.

    실수령액

     

    결괏값으로 월 실수령액은 1,885,870원이 나오게 되었네요. 4인가족이 입에 풀 칠 하기도 벅찬 금액입니다. 잠깐 넋두리하자면 10년 이상 특수직종에 있다가 회사가 파산해서 같은 직종 구인이 사라져 버린 (예: 비디오 산업) 저 같은 사람들은 다른 직종으로 신입으로 들어가 처음부터 다시 배워야 할 텐데요. 나이가 곧 40줄에 있는 만큼 신입으로 뽑아주는 곳을 찾기도 하늘의 별따기이고 들어갔다 하더라도 차장이라는 직급을 달고 월 400씩 받던 사람이 신입 취급을 받으며 급여 1,885,870원을 받고 새로 배우며 적응하며 버티는 것도 여간 쉽지 않을 것입니다. 그래도 생계유지를 위해서라면 이 악물고 해야 하겠죠? 모든 가장들 파이팅입니다. 글을 쓰면서도 현타 오네요. 아직 젊으신 분들은 직업을 선택할 때 수요와 공급을 확인해 보고 나중에도 전망이 밝은 직업을 선택해서 목표를 잡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하 내 인생..

     

    아래 실수령액 계산 무료로 해볼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네이버 최저시급 계산인데요. 아래 링크 걸어놨으니 필요하신 분들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실수령액 계산하기!

    마치며

    2024년도 최저시급은 9,860원이며 이를 월급으로 계산하면 월 2,060,740원이고 연봉으로 따졌을 때는 연봉 24,728,880원이 됩니다. 글 끝까지 보셨으니 본인이 지금 최저시급에 맞게 일하고 있는지 계산 가능 하시리라 생각합니다. 

     

    말 그대로 최저시급이란 "최소한 이거라도 받게 해 줘라"라는 건데 오히려 최저시급에 맞게 준다거나 더 심하면 이 최저시급조차도 안 주려고 하는 양심 없는 사용자들이 있죠. 그럴 땐 가차 없이 노동부로 달려가시면 되겠습니다.

     

    이 블로그의 같이 읽으면 도움 되는 글 

     

    임금체불 신고 방법 근로자의 대응 확인!

     

    야근 특근 야간, 휴일 주말근무 연장근무 수당 기준 계산방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