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회색빛 건물에 갇혀 매일 다람쥐 챗바퀴 돌듯 회사와 집을 드나들며 청춘을 소비하는게 싫은 많은 청년들이 귀농을 했는데요, 귀농이 그리 쉽지만은 않아 좌절하는 청년들도 많았습니다. 2024년도 정책으로 농업 청년 지원 정책이 새롭게 바뀝니다. 지금부터 정보 살펴 보겠습니다.
농업 농촌의 문제점
농촌 고령화로 인한 지역소멸이 빠르게 진행중입니다. 농촌의 인구중 2000년대에는 40대 이하 7% 65세 이상 33% 였는데요, 22년도 조사 결과에는 40대 이하 1% 65세 이상 63%로 큰폭으로 늘어난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현 상황은 청년 농 정착을 위한 농지, 주거 등 기초 생활 인프라가 부족한 상황이며. 청년 농 조사결과 영농 중 가장 큰 어려움이라 느끼는 부분은 농지 부족이라고 나왔습니다.
이러한 농촌 고령화 현상 및 귀농한 청년 농업인들을 위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농업 미래를 열어갈 청년 농업 인 육성 사업이 다시 새롭게 단장 합니다.
24년도 청년 농업 지원 방향
청년이 농업에 진입 즉 귀농을 하면 , "농지부터 주거.보육까지" 패키지로 지원하게 됩니다.
청년농 농지 지원은 1인당 1400평 에서 2100평으로 늘어나며 이는 청년농 1인당 농지 지원 규머 50%의 기대효과가 있습니다.
우량농지 확보 또한 은퇴직불 활용 규모화.우량농지를 확보할 예정입니다.
주거지원은 신규 4 에서 8개소 로 확대 됩니다.
그중 성과가 좋았던 청년들은 더 큰 규모로 스케일 업까지 지원 합니다.
또한 창업시 청년농 신용보증은 기존 85% 에서 95%까지 늘어나며 실질 융자가능 규모는 3 →5억원으로 늘어났습니다.
거기다 농식품분야 유망기업 발굴육성과 성장지원까지 해준다고 하니 지원 폭에 신경을 좀 썻다는게 느껴지시나요?
아래 깔끔하게 정리된 표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2024년 귀농 농업 청년 지원 정책이 이렇게나 좋아진 만큼 많은 청년 분들이 귀농 해서 농촌의 인구 고령화는 물론 많은 농촌 사회의 문제점들이 해결되는것과 동시에 귀농 청년들에게는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 자리 잡을 수 있게 되길 바라며 오늘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지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부모급여 (0) | 2023.10.02 |
---|---|
2024 육아휴직 급여 수당 기간 최신 정보 총정리 (0) | 2023.10.01 |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기간, 청년희망적금 중복, 무직 총정리 (0) | 2023.09.27 |
2024년 알뜰교통카드 폐지, 새로운 K-PASS (k패스) 정보 비교 총정리 (0) | 2023.09.26 |
2024년 노인 일자리 사업 최신 정보 (0) | 2023.09.25 |